반응형 전체 글26 미생물 공장, 식량, 약, 화성 이주 NASA는 2023년 6월에 화성 거주 실험인 '차피(CAHPEA)' 프로젝트를 시작했습니다. '차피' 프로젝트는 화성의 환경을 재현한 모의 화성에 총 4명이 들어가 1년간 작물 재배와 로봇 작업을 수행하는 것으로 화성에서의 생존 데이터를 쌓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습니다. 미생물 공장 화성으로 이주하는 것을 막는 가장 높은 장벽은 식품과 의약품, 그리고 필수품을 만드는 재료를 조달하는 문제입니다. 지구에서 화성으로 가는데 2년 정도 걸립니다. 우주인 1명은 매일 1.83kg의 식량을 섭취해야 하는데, 이 계산에 따르면 우주인 6명이 화성을 간다면 최소 7351kg의 식량이 필요합니다. 다시 말해, 화성 탐사에 필요한 자원을 실어 로켓을 발사하기엔 비용과 위험 부담이 너무 큽니다. UC 버클리 애덤 아킨.. 2024. 4. 19. G2 체크포인트와 DNA 손상의 진실 G2 체크포인트는 세포주기의 G2 단계에서 DNA 합성과 세포 분열 준비를 확인하며, DNA 손상이나 오류가 발견되면 세포주기를 멈추고 손상을 수리하거나 아포토시스를 시도합니다. 이는 유전자 변이가 자식 세포로 전달되는 것을 막아 유전체 안정성을 유지하고 암 예방에 도움이 됩니다. G2 체크포인트는 DNA 손상과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으며, 세포가 분열하기 전에 DNA 손상을 탐지하고 수정함으로써, 세포의 유전체 안정성을 보호하는 중요한 역할을 수행합니다. G2 체크포인트는 여러 단백질과 관련이 있으며, 이들 단백질들은 G2 체크포인트를 조절하고, DNA 손상을 감지하고 복구하는 데 함께 작용합니다. 특히, BRCA2는 DNA 손상을 감지하고 수리하는 중요한 역할을 하며, 이 기능이 손상되면 DNA 손상이.. 2024. 4. 10. SMN2 미니진(minigene)을 활용한 SMN2 유전자의 특성 재현 이번 연구에서 가장 주목할 점은 척추 근위축증 (Spinal Muscular Atrophy, SMA) 연구 활성화를 위한 SMN2 (Survival Motor Neuron 2) 유전자의 짧은 버전을 만들었다는 점입니다. 또한, 이 슈퍼미니진과 비슷한 컨셉으로 다른 질병과 관련된 유전자를 연구하기 쉬운 버전으로 만드는데 기여를 할 수 있습니다. 슈퍼 미니진 (Superminigene) SMN2 유전자의 짧은 버전을 슈퍼 미니진이라고 이름을 지었습니다. SMN1 유전자가 없어지거나 돌연변이가 생겨 SMN 단백질이 줄어들면 유아들에게 치명적인 척수 근위축증을 일으킵니다. SMN2 유전자의 짧은 형태의 미니진을 이용하여 10,000명 중 1명의 신생아에게 영향을 미치는 치명적인 질병에 대한 잠재적인 치료법을 더.. 2024. 3. 27. BRCA2의 세포주기 키나제(kinases)의 활동 조정: 유전체 안정성 증진 목차 1. BRCA2: 세포주기 키나제(kinases)의 활동 조정, 유전체 안정성 증진 2. 하아리아트 3. 논문 BRCA2는 CDK(세포주기 키나제)와 Plk1의 활성을 조절하여 Rad51를 통한 유전체 안정성을 촉진합니다. BRCA2는 세포주기 및 CDK 종속적인 방식으로 Plk1과 상호 작용하며, 이로 인해 Rad51의 인산화가 촉진됩니다. 이러한 인산화 과정은 유전체의 무결성을 유지하는 데 중요합니다. 이 연구 결과는 BRCA2 결핍으로 인한 종양 발생 및 치료 저항성을 이해하는 데 중요한 인사이트를 제공합니다. BRCA2: 세포주기 키나제(kinases)의 활동 조정, 유전체 안정성 증진 다양한 인간 유전체 불안정성 증후군, 특히 암 등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는 Rad51의 기능 이상과 밀접한 .. 2024. 3. 12. 염색체 정렬은 PLK1에 의한 BRCA2 인산화에 의존합니다. 목차 1. 염색체 정렬과 BRECA2 인산화 2. 유사 분열에서의 PLK1에 의한 BRCA2 T207A의 PLK1 인산화 역활 BRCA2 단백질이 세포 분열 과정에서 Polo-like kinase 1(PLK1)에 의해 인산화되는 것을 확인했습니다. 이 과정은 세포 분열 제어에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BRCA2가 PLK1에 결합하면 PP2A와 인산화-BUBR1이 복합체를 형성합니다. 이 결합이 억제되면 복합체의 구조가 변하고 불안정한 세포 분열과 이수성이 발생합니다. 이 결과는 BRCA2의 염색체 정렬 기능을 명확히 하고, BRCA2 변이가 있는 종양에서 관찰된 이수성의 원인을 부분적으로 설명할 수 있습니다. 염색체 정렬과 BRCA2 인산화 BRCA2는 종양 억제 단백질로, 동종 재결합을 통해 유전체의 안.. 2024. 3. 10. 크로마틴에서 ATM/Wip1 활동: G2 체크포이트 지속 시간을 결정하기 위해 Plk1 재활성화 제어 DNA 손상 발생 시, FRET 기반 센서를 통해 ATM/ATR 키나제 신호가 세포주기를 촉진하는 키나제를 차단합니다. 이 과정은 DNA 손상 중점보다는 염색질 전체의 ATM 활동에 의해 제어되며, 결과적으로 손상 유발 G2 억제가 최소한의 지속 시간 동안 발생합니다. ● FRET 기반 프로브인 ATKAR를 이용하면, ATM 및 ATR의 활동을 살아있는 세포에서 직접 관찰할 수 있습니다. ● DNA 손상 발생 시, ATM 활동이 염색질 전체로 확산되어 Plk1 활동을 억제합니다. ● ATM 활동은 염색질에 결합된 인산화 효소인 Wip1에 의해 상쇄됩니다. ● DNA 손상 반응 중점에서도 ATM이 활성화되어 있음에도 불구하고, Plk1는 다시 활성화될 수 있습니다. 요약 DNA 손상이 발생한 후에는 돌연변.. 2024. 3. 10. G2 체크포인트(Checkpoint) 실험, 준비, 그리고 방법 목차 1. G2 체크포인트 2. 실험 준비 3. 샘플 고정(Fixation) 4. 샘플 준비 G2 체크포인트는 DNA 손상 시 세포의 유사분열을 차단하며, 암세포는 이 체크포인트를 비활성화하여 유전체 불안정성을 초래합니다. DNA 결합 염료를 이용해 DNA 양을 측정할 수 있으며, 히스톤 H3의 Ser10에서 인산화는 유사분열 세포를 표시합니다. 이를 통해 Anti-Histone H3 pSer10 항체, propidium iodine, 그리고 flow cytometry를 이용한 유사분열 세포의 정량화와 DNA 함량 분석 방법을 소개합니다. G2 체크포인트 G2 체크포인트는 DNA가 손상될 경우, 세포가 유사분열(mitosis)에 진입하는 것을 차단하고, 유전체의 완전성(genome integrity)을 .. 2024. 3. 9. 웨스턴 블랏 (Western blot)의 모든 것: 단백질 발현, 추출, 정량, 안티바디 선정, 농도 결정 방법 목차 1. 단백질 추출 2. 단백질 정량 3. 웨스턴 블랏 4. 안티바디 선정과 농도 결정 어떻게 타깃으로 하는 단백질의 발현 여부와 양을 확인할까요? 특정 단백질의 발현 여부와 양을 확인하는 방법으로 웨스턴 블랏(Western blot)이 있습니다. 간단히 설명하자면, 먼저 세포나 조직에서 단백질을 추출합니다. 그 후에 단백질을 정량하고, 적당량을 젤에 로딩합니다. 젤을 바로 쿠마씨 염색(Coomassie Brilliant Blue) 혹은 실버 스테인 염색을 통해 단백질 패턴을 확인하거나, 젤에 있는 단백질을 트랜스퍼를 통해 멤브레인으로 옮긴 후, 타깃 단백질의 안티바디를 추가하면 원하는 단백질의 발현 여부와 양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단백질 추출 실험실에서 가장 일반적으로 사용하는 웨스턴 블랏은 배양.. 2024. 3. 9. 이전 1 2 3 4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