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 카테고리의 글 목록 (4 Page)
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분류 전체보기26

Plasticity of BRCA2 Function in HomologousRecombination: Genetic Interactions of the PALB2 and DNA Binding Domains 유방암 억제 유전자 BRCA2는 상동 재조합 (homologous recombination, HR)을 통한 DNA 수리 과정에서 그 역할을 통해 포유류 세포의 유전체 무결성을 유지하는 데 필수적입니다. BRCA2는 3,418개의 아미노산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RAD51 재조합효소와 다른 단백질들, 그리고 DNA와 상호작용하는 여러 도메인으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BRCA2 상동 재조합 (homologous recombination, HR) HR에서 BRCA2의 세포 기능을 이해하기 위해, 다양한 BRCA2 도메인으로 구성된 융합체를 생성하고, 특정 단백질 및 DNA 상호작용을 방해하기 위해 이러한 도메인에 돌연변이를 도입했습니다. DNA 결합 도메인이 결실되고 HR에서 활성을 보이는 BRCA2 융.. 2024. 5. 18.
다계통 위축증, 파킨슨병, KM-819, 카이노스메드, 이스라엘 특허 목차1. 카이노스메드 (284620)2. KM-819 (세포 사멸 저해와 알파시뉴클레인 분해)  카이노스메드는 임상 2상 진행 중인 파킨슨병과 다계통 위축증 (MSA)을 포함한 뇌 신경계 질환 용도에 대한 KM-819의 특허가 이스라엘에서 등록되었다고 밝혔습니다.     1. 카이노스메드 (284620)멕시코, 러시아에 이어 세 번째로 특허 등록을 했고, 미국과 유럽 등 다른 국가에서의 특허 등록을 기다리고 있습니다. KM-819의 효능은 신경 세포의 사멸을 억제합니다. 또한 신경 세포 보호 효과와 세포 내의 알파시뉴클레인의 축적을 저해해 이로 인한 세포에 대한 독성을 제거하는 효과를 가지고 있습니다. 알파시뉴클레인 단백질은 신경 세포 내에서 비정상적인 구조가 일단 형성되면 세포 내에 축적되고, 이들이 .. 2024. 5. 7.
치매신약 개발, 타우 단백질, 알츠하이머병 타우 (Tau) 단백질이 알츠하이머 발병의 주원인으로 알려진 타우 단백질을 타깃으로 하는 치료제 개발 경쟁이 시작되었습니다.    타우 단백질알츠하이머병은 치매를 일으키는 가장 흔한 신경 퇴행성 뇌 질환입니다. 서서히 발병해 기억력을 포함한 인지기능의 악화가 점진적으로 진행됩니다. 알츠하이머병 환자의 뇌에서는 치매의 원인으로 알려진 아밀로이드 베타의 뇌내 침착뿐 아니라, 타우 단백질 과인산화와 연관된 신경 섬유 다발이 주요 병리학적 특징으로 관찰됩니다.  타우 단백질은 신경세포의 미세소관에 결합해 신경세포 구조를 안정화하는 역할을 합니다. 하지만 병적인 상태의 타우는 과인산화와 같은 변형으로 인해 음전화를 띄면서 미세소관에서 분리되고, 신경독성을 나타내는 올리고머 및 응집체를 형성합니다. 과인산화되고 응.. 2024. 4. 27.
네오탐, 설탕, 아스파탐, 장내 미생물, E961 아스파탐 대체제로 개발된 인공감미료 네오탐이 장내 미생물을 병들게 해 장 건강을 해친다는 연구결과가 나왔습니다.     네오탐 (성분 목록: E961)아스파탐이 세계보건기구의 발암물질로 지정되었습니다. 이 아스파탐의 대체물로 2002년에 개발된 네오탐이 있습니다. 네오탐은 설탕보다 7000~1만 3000배 더 달고, 아스파탐보다 훨씬 강력하면서도 열에 안정적입니다. 이러한 장점 때문에 네오탐은 케이크, 껌, 청량음료에 널리 사용되고 있습니다.  네오탐을 이용한 실험에서 네오탐이 장 모델에서 세포 사멸이 증가하고 장벽 누수 현상이 나타났습니다. 또한, 장내 세균들이 응집해 생물막을 형성하고, 장의 상피장벽에 달라붙거나 침투하는 등 병원성을 띠는 것이 관찰되었습니다.   사카린, 수크랄로스, 아스파탐과 같은.. 2024. 4. 27.
반응형